군대에서 부터 꼭 읽고싶은 책이었는데, 휴가나와서 학교 중앙도서관에서 읽었다. 
말년휴가때 할일이 없다고 생각될 수도 있는데...여튼 뭐 잘읽었다.
김예슬선언오늘나는대학을그만둔다아니거부한다
카테고리 시/에세이 > 나라별 에세이 > 한국에세이
지은이 김예슬 (느린걸음, 2010년)
상세보기

독후감.

 이 사회는 뭔가 잘못된것 같다.  사회는 행복해지기위한 방향으로 가야하는 것 아닌가? 그렇지 않은가? 남보다 앞서기 위해 치열하게 산다. 좋은 대학교 가기위해, 좋은 곳에 취업하기위해, 승진하기 위해 살아남기위해... 참 이상한 것은 사회가 지나면 지날 수록 인간이 살기 행복한 사회가 되어야하는데, 어쩌면 심리적으로 뭔가 쫓기고 더 불행한것같은 이유는 뭘까? 인간이 더 행복해졌다고 말할수있을까? 물론 세상은 윤택해지고 풍요로워 졌지만, 그 시대에 안살아본 탓일까?
 
 스스로 질문해봤다. 공부를 왜하지? 성공한 인생을 살기위해. 그럼 성공한 인생이란 뭘까? 의식주가 갖춰진 환경,  예쁜 부인과 자식들. 그럼 좋은 차, 집이 필요할까? 꼭 인생을 살기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일까? 살아가면 갈수록 뭔가 기준은 높아진다. 삐삐->시티폰->핸드폰->스마트폰 이런식으로 바뀌면서 우리는 더 행복해졌나? 무언가 사회의 기준은 높아진다. 이것이 없이는 사회에서 살수없으니말이다. 그럼 우리는 또 그 기준에 맞추기 위해 계속 열심히 일해야한다. (글과 관련은 없지만 기계에 우리 생활이 종속되는것은 점점 더 심해진다.)
 
 지금 취업이 힘들때다. 시간이 지날수록 취업은 점점 힘겨워질것이다. 취업문에 통과하기 위해 사람들은 더 치열하게 공부하고, 스펙은 점점 더 높아질것이다. 100으로 정했다면 모두가 치열하게 해서 100을 넘기면 200으로 정해서 또 그 기준을 만족하는 합격자를 뽑을 것이다. 20대의 젊음은 사라진다.

 사실 현실이 그럴것이다. 아마 대다수의 학생들은 대학교를 취업을 위한 곳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학이 지식을 탐구하는곳? 진리를 연구하는곳? 아니다. 일단 취업이 잘 되어야 하는것아닌가? 하지만 더 이상한 것은 그들이 회사에 취업하면 대학에서 배운것과 다르게 처음부터 다시 배운다는 것이다. 사회의 일꾼을 만드는 곳이라기 보다는 취업을 위한, 취업의, 취업에 의한 곳이 되버렸다. 영어말하기, ppt, 발표능력. 기업입장에서 보기좋은 물건들을 만드는 기술. "저를 데려가세요."

 김예슬씨는 이런 상황에서 과감한 선택을 했다. 자신은 용기가 없어 마음을 다잡기 위해 세상을 향해 선언했다고 하지만 어느누가 그녀를 용기없다고 생각하겠는가? 세상을 향해 물음표를 던진 그녀의 행동에 경의를 표한다.

 난 글쓴이처럼 용감하게 결정할 수 있을까? 대학생이란 신분을 버리는 순간, 맞딱드릴 세상이 너무도 두렵다. 당장 생계를 생각해야한다. 아마 한순간에 알바인생이 될거다. 전전하다 가정을 이루면, 알바경력으로 중소기업같은 곳에 취직하게 될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 순간부터 자식이 장성할때까지 계속 먹고살아야 할 걱정을 해야한다. 무척 어려울 것같다. 

 나의 꿈은 끊임없이 공부(철학, 순수과학, 역사, 예술등)하고 그 공부한 지식을 나중에 사회를 위해 기여하는 것이다.(글을쓰는등의 창조활동.) 지금 나는 화학을 전공하고있다. 목표대로라면 대학원에 갈것이다. 하지만, 대학원 연구도 이미 기업이랑 연계되어있는 곳이 있어, 학문에 열의라기 보다는 돈되는 학문이 비중이 클것이란것은 당연한것이다. 연구자체도 돈이 필요하기때문에 기업에서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열악한 환경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연구활동도 돈의 논리가 어쩔 수 없이 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인가보다.
 
 (다른 사람과 달리) 나의 경우는, 취업이 주(主)가 아니기때문에, 대학교는 꿈을 이뤄줄 수있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분명 대학을 포기하게 되면 계속 공부할 수있는 기회는 멀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김예슬씨와는 달리 대학을 포기해야겠다는 생각이 없습니다!)

 김예슬씨는 자신의 가짜꿈(=어른들에 의해 만들어진 꿈, 오염된꿈)을 가지고 공부를 해서 소위 명문대란 곳까지 왔다. 대학교에와서 자기자신에게 가슴으로 물어보고 이것이 아님을 알고 과감한 결정을 했다. 누구나 다 그럴것이다. 우리의 문제니까. 나란 사람도 만들어진 꿈으로 공부를 했고, 현재까지 와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자기자신에 관한 성찰인 것 같다. 좋은 대학에 가고보자라고 일단 공부만 해서 대학교에 입학을 하면 그제서야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고 찾기 시작한다. 그러면 이미 선택은 늦었다. (늦은때가 가장 빠른것일 수도 있지만....) 개인의 탓도 있지만 성찰을 못하는 주된 이유는 사회의 탓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학벌주의, 엘리트주의가 이러한 문제를 부추기고, 나아가 경제에 악이되는 사교육 문제의 주범이지 않은가? 결국 난 또 사회에 화살을 돌리고 말았지만......
 
 한국사회가 타락하지 않은것은 이러한 희망의 작은 움직임이 조금이라도 있기때문 아닐까? 나는 이런 이상주의적인 생각이 언젠가는 올수도 있겠지....라고 생각하며 책을 덮었다. 
Posted by 정원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