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도둑 (0000)
The Bicycle Thief
- 감독
- 비토리오 데 시카
- 출연
- 람베르토 마지오라니, 엔조 스타이오라, 리아넬라 카렐, 지노 살타메렌다, 비토리오 안토누치
- 정보
- 드라마 | 이탈리아 | 96 분 | 0000-00-00
1. 범죄를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주인공도 선량한 사람이었지만, 자전거를 도난당하고, 범인을 잡았으나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마을사람들에게 모욕만 당하면서 주인공은 큰 좌절감에 빠지게 되었다.
자전거는 그에게 생계수단이었던 것 뿐만 아니라 미래이고, 가족들의 희망이었다.
자전거가 없어진 의미는 무척 컸다. 결국 그도 자전거 도난을 결심했고, 주인없는 자전거를 훔치려다 잡히게 되었다.
도난 당한 사람은 주인공을 용서한다. 그 이유는 주인공 아들(브루노)의 눈물이었다.
브루노의 눈물은 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실망감이 섞였던 눈물이었을 것이다.
범죄란 것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2012년 9월 초. 현재 지금은 성범죄로 말이 많다. 그러기에 많은 대책들이 나온다. 모 정치인에 말로는 사형제를 실행해야 한다. 어떤 국회의원들은 처벌의 강도를 훨씬 높여야 한다. 경찰을 늘려야한다. 수상해보이는 사람들을 잡아다가 불시 점검을 할 수 있어야 한다등. 한마디로 경찰의 권위를 높이고, 법을 더 엄격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게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을까?
범죄란 것은 결국 사회적 환경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를 이 영화를 통해 생각해본다.
범죄란 것은 이성에서 나오기보다는 감성에서 주로 나온다고 생각한다.(특히 흉악범)
아무리 법을 높여도 감성적인 부분을 막을 수는 없다. 그것은 무엇을 생각하기도 전에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결국 내가 생각하는 대책은 무엇인가?
결국 먹고사는 문제의 해결이다. 부모도 먹고사는 문제로 서로 가족들에게 소홀하고, 가정에 충실하지 못한다.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의 빈곤속에서, 의지를 가지고 바르게 살아간다는 것은 보통사람들에게서는 찾기 힘들다. 범죄자란 대개 어떤사람들인가? 우리사회에서 소외되고 어둠속에 있던 사람들이다.
범죄를 막기위한 것은 높고 무서운 법이 아니다. 나그네의 코트를 벗긴 것은 바람이 아니라 햇살이다. 이 처럼 낮은 자를 향한 정책은 그들로 하여금 세상에 대한 반감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2. 자전거에 대한 여러가지 추억.
2-1 자전거를 처음 도난당한 그 날. 그 인연
때는 6살이었다. 엄마가 처음으로 505자전거를 사주셨다. 지금은 볼품없지만 당시에는 너무도 갖고 싶던 세발자전거였다. 아파트에 살고있던 나는 그것을 타고 5단지 곳곳을 누비고 다녔다. 타면서 하늘을 보았다. 푸른하늘에 달같은 것이 떠있었다. 무척 아름다웠다. 대낮에 달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그러던 어느날 자전거를 도난당했다. 504동에서 3명의 아이들에게 빼앗겼다. 너무 재미있게 탔기 때문이었을까? 여튼 여러아이들은 내 자전거를 이유없이 빼앗았고, 나는 울기만 했다. 나는 싸움을 잘 못했다. 결국 내가 해결 할 수 있는 것은 엄마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 뿐이었다.
엄마에게는 빼앗긴 동만 알려줬을 뿐인데 자전거를 용케 찾아오셨다.
주도해서 뺏은 아이는 박OO이라는 아이였고, 나보다 한살이 어렸다. 그 아이는 나와 뒤에 성당에서 만나게 된다. 그때 뺏기고 빼앗겼던 위치는 어느덧 바뀌어 있었다. 긴 얘기 이므로 나중에....
2-2 누가 영화 '자전거 도둑' 주인공에게 돌을 던지랴?
때는 초등학교 3학년 때로 기억한다. 나는 어머니께 자전거를 타고 싶다고 했다. 그 문제의 세발자전거 이후로 나는 자전거를 사본적이 없었고, 친구들이 두발자전거를 타고 쌩쌩 달릴때면 내심 부러워지곤 했다. 나는 엄마에게 자전거를 타고 싶다고 넌지시 얘기했다. 그 뒤 엄마는 어디서 가져오셨는지는 모르겠지만 꿈돌이 자전거를 가지고 오셨다. 초등학생이 타는 두발 작은 자전거이다. 엄마는 가져왔으니 잘 타고 다니라고 했다. 기분이 좋았다. 그동안 8비트 게임기만 정신없이 했던 나에게 자전거는 하나의 새로운 전환이었다. 그것을 타고 온 동네를 돌아다녔다.
그러던 어느날 친구 김민구와 5단지를 타고있었는데 2명의 여자아이와 그들의 아버지가 내 자전거쪽으로 왔다.
"이거 맞지 않아?" "그러게 안장이고 핸들이고" "아빠, 이거 우리꺼 아니야?"
세 명이 내 자전거 주위로 와서 이렇게 중얼거리고 있던 것이다.
"너 이거 어디서났어?" ".....엄마가 타라고 했어요" "정말 이거 너꺼 맞니?" "네 맞아요.." "그래, 일단 알았다."
아저씨는 두 딸을 데리고 갔다.
"야 이거 너꺼 맞어?" 김민구가 물었다. "그럼 맞지. 엄마가 준건데" 난 확신하고 있었다.
"그럼 우리 위장을 하자. 또 보면 뭐라고 할 거 같은데?"
나는 민구와 운동장에 갔다.
그리고 페달에 낙엽을 붙이고 종이를 끼워넣고 안장높이를 바꿨다. 어떻게 해야 못알아볼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다.
그리고 집에와서 그날 있던 사실들을 엄마에게 말씀드렸다.
어느날 자전거는 없어져 있었다.
------------------------------------------------------------------------------------------------------------
생각해보면....
당시 우리는 임대아파트에 살고 있었고, 그 당시 사실상 생계는 어머니가 책임지고 있었습니다. 우리가족은 다섯명이었고 두 동생은 8살 6살 이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어머니가 자전거를 구입할 여력이 있다고 생각치 않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이야기 하지만 당시에는 아픈 기억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어머니께는...
2-3 자전거를 도난 당한날
돌아가는 길을 기억한다. 가장 쓸쓸하고 비참했던 날.
학교에 가는 길이었다. 마땅한 자전거가 없어, 아버지가 타시던 비싼 mtb자전거를 타고다녔었다.
하아....잊어버렸다. 자물쇠는 확실히 잠궜으니 근 13~14시간 되는 시간안에 자물쇠를 끊고 도주를 했다보다.
'아버지가 운동용으로 타고다니시던 건데...'
배회하고 배회했다. 아무리 봐도 빨간 자전거는 보이지 않았다.
괜히 자물쇠가 없는 자전거를 찾아보게 되었다.
1시간 30분을 배회하다 집에 왔다. 절망을 주는 말을 가족들에게 차마 할 수 없었다.
다음 날 아버지께 직접 말씀을 드렸다.
"저..아빠 자전거를 잃어버렸어요."
"할 수 없지...... 괜찮다."
과거는 돌릴 수 없는 것인가? 어떤 상황이 오든 그 상황에 빠르게 수긍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물론 그 상황이 나오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선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선택을 하던 그 선택후에 후회없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북토피아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을 부정한다. (0) | 2013.04.19 |
---|---|
에리히 프롬 - 사랑의 기술 (0) | 2012.12.02 |
김강사와 T교수를 읽고. (0) | 2012.03.01 |
'폭풍의 언덕'을 읽고.... (0) | 2011.05.12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고 (2) | 2011.04.11 |